들어가며오늘은 SpringBoot 환경에서 RabbitMQ 를 사용해서 비동기 이벤트 처리를 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오늘은 이벤트 발행자 와 수신자 딱 두가지 기능을 구현해볼 예정입니다. 메시지를 보내는 발행자 : Producer(=issuer)메시지를 받는 수신자 : Recevier(=consumer) 위 두가지 기능 구현을 위주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서론비동기 처리를 알아보기 전에 간단한 개념설명을 해보겠습니다. RabbitMQ 는 무엇일까요?AMQP 를 구현한 오픈소스 메세지 브로커 이다.위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비동기 작업이 필요할 때 즉 많은 작업이 요청되어 처리를 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그럼 AMQP 는 무엇일까요Advanced Message Queueing Protocol의 ..
안녕하세요🖐 공부를 하다가, 엔티티는 DB와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건들면 안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왜 건들면 안된다는 걸까요❓ 그러면 엔티티에 접근을 안하고, 어떻게 DB에 접근해서 CRUD를 진행할까?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일단 저는 간단한 Rest API 연습을 하기 위해서 CRUD 게시판을 짜기 위해 공부중이였습니다. 최대한 객체지향 적으로 짜기 위해, 스프링 3Layer Architecture 를 도입해서 진행을 했습니다. 설명 : https://hyeonq.tistory.com/131 일단 Entity를 생성을 하겠습니다. @Getter @NoArgsConstructor @Entity public class Question { @..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프링부트에서 의존성 주입에 대하여 알아볼 것 입니다. 스프링에서 중요한 개념인 Spring Core 관련된 내용은 꼭 알고서 개발을 시작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POJO, AOP, DI 등 중요 개념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DI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의존성 주입은 스프링 을 사용하는 백엔드 개발자라고 하면은 개발시 자주 사용하고 있을 것 입니다. 저도 개발을 하면서 객체에 의존성 주입을 하는 상황이 자주 있습니다. 항상 궁금했습니다. 어떻게 이 방식으로 Bean에 의존성이 주입이 되고, 내가 원하는 객체에서 메소드를 사용하고 또 어떠한 방법들이 있을까? 그래서 이번 기회에 의존성주입(Dependency Injection) 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모든 글은 W..
오늘은 JPA를 활용하여 게시판을 페이징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론1-1) 페이징을 하는 이유 여러분들은 페이징을 왜 해야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이 있나요❓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분이라면 페이징이라고 하면 두가지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1) 게시판 같은, 웹 페이지에서 페이지가 넘어가는 페이징2) 가상메모리 관리 기술인 페이징 두가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여기서 제가 설명할 것은 1번인 웹 페이지에서 페이지를 이동시키는 페이징을 진행 해보도록 할 것 입니다. 📢 결과적으로 제가 페이징을 하면서 느꼈던 것을 바탕으로 페이징을 필요성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1) 사용자 경험 향상페이징을 하지 않으면 모든 글들이 한번에 나열되게됩니다. 글이 200개 300개 라면은 사..
사전 작업 애플리케이션 등록 주소 : https://developers.kakao.com/console/app 에서 카카오 애플리케이션 등록을 한다 1-1)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필수❗) → off 상태면 시작도 안됌.. 1-2) Redirect URI 설정 이 주소는 컨트롤러에서 맵핑하는 주소를 꼭 써야한다. ( 무조건‼‼) 1-3) 동의항목 설정 본인이 카카오 로그인시 가져올 정보를 선택하는 곳이다. 저는 테스트 용으로 한거라 아주 간단한 정보만 가져올수있고, 심사를 통해서 통과해야지 카카오에 등록된, 여러정보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1-4) 플랫폼 등록 플랫폼 등록을 해줍니다. 웹 도메인은 기본 로컬 주소를 등록 해줍니다. 이제 진짜 코드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2 TEST 💡 스프링부트 카카오..
TODO : 검색 로직, 대 댓글 만들기(231106) 개발 환경 : 인텔리제이 --> SpringbootMybatisMini #1 여러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사전작업인 mapperInter 입니다 ReboardMapperInter package boot.data.mapp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org.apache.ibatis.annotations.Mapper; import boot.data.dto.ReBoardDto; @Mapper public interface ReBoardMapperInter { public int getMaxNum(); public int getTotalCount(Map map); public List ..
🔔 TODO : 페이징 , 게시글 AJax수정, 삭제 📘 project : 인텔리제이 - SpringBootMybatisMini github : https://github.com/Hyeonqz/SpringBootMybatisMini 스프링부트 동작관정 간단 클라이언트가 JSP 페이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출합니다. JSP 페이지에서 컨트롤러에게 요청을 보냅니다. 컨트롤러는 요청을 받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컨트롤러는 서비스로 데이터 처리를 위임합니다. 서비스는 필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서비스가 데이터 처리를 완료하면, 결과를 컨트롤러로 반환합니다. 컨트롤러는 JSP 페이지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JSP 페이지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인텔리제이 -> SpringMybatisMini 프로젝트 🔔 TODO : 회원 게시판 1) 로그인 한 경우에만 글쓰기 버튼이 보이게 2) 🖐 새로 배운 것 autofocus="autofocus" // 폼 이동시 이 것을 설정해준 쪽으로 화면이 바로 이동한다. margin : 상(top) 우(right) 하(bottom) 좌(left) //margin 한번에 주기 select * from bootmember order by num desc limit 0,2; //bootmember 테이블을 조회하는데, 0번부터 2번까지 만 조회한다 //10개의 글이 있으면 2개만 조회 된다 select ifnull(Max(num),0) from memboard - 기본적으로 조회하면 max(num)은 null 이 나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