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JPA를 활용하여 게시판을 페이징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론1-1) 페이징을 하는 이유 여러분들은 페이징을 왜 해야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이 있나요❓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분이라면 페이징이라고 하면 두가지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1) 게시판 같은, 웹 페이지에서 페이지가 넘어가는 페이징2) 가상메모리 관리 기술인 페이징 두가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여기서 제가 설명할 것은 1번인 웹 페이지에서 페이지를 이동시키는 페이징을 진행 해보도록 할 것 입니다. 📢 결과적으로 제가 페이징을 하면서 느꼈던 것을 바탕으로 페이징을 필요성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1) 사용자 경험 향상페이징을 하지 않으면 모든 글들이 한번에 나열되게됩니다. 글이 200개 300개 라면은 사..

스프링부트가 무엇인지에 대한 글을 한번 적어보겠습니다. 1) 내가 생각하는 스프링부트 ❓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써본사람은 스프링의 명확한 단점을 알 거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기존 스프링은, 서버 설정 및 여러 세팅을 귀찮게 프로젝트 생성시 매번 개발자가 직접 해줘야 합니다ㅠㅠ 그러나 스프링부트는 , 스프링을 쓸 때하는 이런 세팅을 할 필요가 없죠 스프링부트는 우리가 개발하는데 있어 더 편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1️⃣ 톰캣 서버를 내장하고 있다. 기존 스프링은, WAS를 내장하고 있지않아, 우리가 직접 WAS인 아파치 톰캣을 설정을 해줘야 했습니다 그러나 스프링부트는 직접 내장하고 있어 우리가 따로 서버를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 기존 스프링보다 설정이 쉽다 3️⃣ 기본적인 보안에 좋다 4️⃣ 스프링..

Java 언어 에서의 멀티 스레드Java에서의 Thread 와 Spring에서의 Thread에는 차이가 있다. Java자바에서 멀티 스레딩은 java.lang.Thread 클래스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Thread 클래스를 상속받거나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스레드를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데, 스레드의 우선순위 및 동기화 등을 수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Spring스프링은 자바의 Thread 클래스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스레드 풀(스레드를 미리 여러 개 만들어 둔 것)을 사용하여 멀티 스레딩을 지원한다. 스프링에서는 TaskExecutor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스레드 풀을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직접 스레드 풀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Async 어노테이..

사전 작업 애플리케이션 등록 주소 : https://developers.kakao.com/console/app 에서 카카오 애플리케이션 등록을 한다 1-1)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필수❗) → off 상태면 시작도 안됌.. 1-2) Redirect URI 설정 이 주소는 컨트롤러에서 맵핑하는 주소를 꼭 써야한다. ( 무조건‼‼) 1-3) 동의항목 설정 본인이 카카오 로그인시 가져올 정보를 선택하는 곳이다. 저는 테스트 용으로 한거라 아주 간단한 정보만 가져올수있고, 심사를 통해서 통과해야지 카카오에 등록된, 여러정보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1-4) 플랫폼 등록 플랫폼 등록을 해줍니다. 웹 도메인은 기본 로컬 주소를 등록 해줍니다. 이제 진짜 코드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2 TEST 💡 스프링부트 카카오..

MVC패턴은 왜 자주 사용되고 왜 나오게 되었을까? Java기반으로 한 웹 개발 발전 순서 1) Servlet 사용 2) Java+Servlet 사용 3) Spring + MVC MVC란? → Model View Controller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인 MVC패턴은 model,view,controller의 줄임말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의 의미한다. 장점 :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서로 영향없이 고칠 수 있는 설계가능. Controller : 사용자의 요청을 받는 곳 → 어떻게 처리 할지를 정한다.(보통 model로 보냄) Model : DB를 처리하는 영역 View : Model에서 처리 된 것을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지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