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영속성 전이는 엔티티의 영속성 상태 변화를 줄 때 연관된 엔티티에도 함께 적용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엔티티를 저장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저장하고, 엔티티를 삭제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삭제하는 것이 영속성 전이 이다 영속성 전이를 적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PERSIST)@JoinColumn(name = "user_id")private User user; 연관관계 설정시 옵션에 cascade 속성값을 지정해주면 된다cascade = CascadeType.(*) 위 설정을 PERSIST 로 하게되면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저장을 시킨다 EntityManger em = EntityManagerFact..
들어가며토이 프로젝트를 하며 이 오류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아래 내용을 통해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아보자 아래 코드를 보자@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CustomUserDetails implements UserDetails { private final LoginEntity login; private MemberEntity member; @Override public Collection getAuthorities () { Collection collection = new ArrayList(); collection.add(new GrantedAuthority() { @Override public String getAuthority () { return l..
서론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insert 쿼리를 날리는 회원가입 로직을 작성하는데자꾸 마지막에 쿼리에 update 쿼리가 발생하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DB에 insert 되는 데이터에는 크게 문제가 없긴했다.하지만 궁금했다, 나는 분명 insert 로직만 작성을 했는데 왜 update 쿼리가 날라갈까? 본론을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더티 체킹 개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더티 체킹이란?JPA에서 더티 체킹(dirty checking)이란 영속성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엔티티의 상태를 감지해서, 변경된 부분이 있다면 자동으로 트랜잭션이 끝나는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기능이다.여기서 말하는 dirty는 “엔티티 데이터의 변경된 부분”을 뜻하며 checking은 변경된 부분을 감지한다는 의미이다. ..
오늘은 JPA 어노테이션인 @Embedded @Embeddable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서론JPA 는 Java 에서 사용할 수 있는 ORM 으로 정말 유용한 도구 입니다.보통 Java,Spring 개발자들은 Spring Data JPA 를 사용합니다. Spring Data JPA 는 추상화가 아주 잘되어 있어 사용에 정말 유용 합니다. 하지만 사용에 유용한 만큼, 잘 알고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Spring Data JPA 를 추가하게 되면jakarta.persistence; 위 패키지에서 추상화가 잘된 인터페이스 및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공식문서 또한 보기 좋게 되어 있어, 개발 생산성에 아주 좋다고 생각합니다. 왜 JPA Entity 에서 @Embeddalbe , @Emb..
안녕하세요👋오늘은 제가 개발시 느꼈던 에러와 불편함에 대한 해결책을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해결 방법이 급하게 궁금하신분은 맨 아래에 해결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ㅎㅎ ✅ 서론제 개발 환경은 Intellj, Java17, SpringBoot3.2, MySQL8.0 입니다 (참고 해주세요) 저는 항상 DB 툴을 통해서 미리 ERD 를 통해 DB 설계 후 , DB에 알맞게 Entity 를 구현하였습니다. 그리고 실무라고 생각하고 개발을 진행하였기에 application.yml 에서 JPA 설정은 spring: jpa: show-sql: true properties: format_sql: true dialect: org.hibernate.dialect.MySQL8Diale..
안녕하세요🖐 공부를 하다가, 엔티티는 DB와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건들면 안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왜 건들면 안된다는 걸까요❓ 그러면 엔티티에 접근을 안하고, 어떻게 DB에 접근해서 CRUD를 진행할까?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일단 저는 간단한 Rest API 연습을 하기 위해서 CRUD 게시판을 짜기 위해 공부중이였습니다. 최대한 객체지향 적으로 짜기 위해, 스프링 3Layer Architecture 를 도입해서 진행을 했습니다. 설명 : https://hyeonq.tistory.com/131 일단 Entity를 생성을 하겠습니다. @Getter @NoArgsConstructor @Entity public class Question { @..
안녕하세요🖐 제가 Springboot + JPA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점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저는 Dto를 생성할 때 항상 기본 자료형으로 선언을 했습니다 public class DtoA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rivate String addr; } 이런식으로 Dto를 구성하여도 크게 문제는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평소에 ORM은 Mybatis를 위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대부분 Mybatis를 활용했기 때문 입니다. 실제로 위 필드를 기본자료형으로 해서 생긴 문제 또한 없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트렌드인 JPA를 공부 중에 모든 Dto 구성 자료형을 기본 타입이 아닌 래퍼 타입으로 구성을 합니다. 왜 그런지 궁금해졌고..
Spring Data JPA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소드 예시 입니다. R = (Select)1) findAll()위 메소드는 DB 데이터를 조회(select)할 때 사용이 됩니다 @Test void SelectTest2() { List allList = this.questionRepository.findAll(); assertEquals(2, allList.size()); Question q = allList.get(0); assertEquals("안녕?",q.getSubject()); }우리는 총 2건의 데이터를 insert했기 때문에 데이터의 사이즈는 2가 되어야 합니다.데이터 사이즈가 2인지 확인하기 위해 JUnit의 assertEquals 메서드를 사용했습니다. assertEquals는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