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오늘은 JWT Token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JWT Token은 보통 로그인 로직을 짤 때 많이 활용하고는 합니다.Spring Security에서 JWT 를 사용하기 위해서 공부를 해보았고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본 개념이랑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 기본 개념JWT(JSON Web Token) 은 웹 표준으로써 데이터의 JSON 객체를 사용하여 가볍고 자가 수용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토큰 기반의 인증 방식입니다. 토큰이라는 개념이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일단 내용을 쭉 읽으시면서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JWT는 URL, HTTP Header, Cookie, HTML Form 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
안녕하세요 🤚 오늘은 모던 자바인 액션 책에 있는 스트림API 활용하는 실전 문제를 직접 풀어보며 Stream API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보고자 합니다. 위 과정은 모던 자바 인 액션 에 있는 챕터에 실전문제중 하나 이며,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문제를 보기전에 아래 코드는 사전에 작성을 해둬야하는 코드 입니다 public class Trader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String city; public Trader (String name, String city) { this.name = name; this.city = city; } public String getName () { return name; } public Str..
들어가며 오늘은 Java 에서 제네릭 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간단하게 알았던 제네릭 타입은 그냥List list = new ArrayList();List linkedList = new LinkedList(); 안에 들어가는 타입을 미리 결정하는게 제네릭 타입 이구나 정도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저 리스트에 String이 아닌 객체가 들어올수도 있고, Integer, Double 등 다른값이 들어올수도 있는 상황을 생각해 봤습니다. 즉 나중에 저 List 안에 String 도 들어갈수도 있고, Integer 도 들어갈 수 있는즉, 재사용성이 가능한 코드를 어떻게 하면 만들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해봤고, 그에 대한 해답은 바로 제네릭 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자 였습니다. 고민1어떠한 타입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RabbitMQ 를 Docker에 깔아보겠습니다. 왜 RabbitMQ 를 사용하게 되었냐면, 강의를 들으면 공부를 하던 중 동기 통신이 아닌, 비동기 통신을 해야 하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비동기 통신을 하기 위해 메세지 큐를 사용해야 했고, 메세지 큐 중 하나인 오픈소스인 RabbitMQ 를 사용했습니다. 설정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간단하게 RabbitMQ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비동기 처리를 위한 메세지 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RabbitMQ 메시지 브로커는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효율적인 메시지 전달을 중개하는 역할을 담당 합니다. AMQP 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큐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로듀서(메세지 생성) 와 컨슈머(메세지 소..
안녕하세요 오늘은 String 객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문자열 생성 문자열은 자바에서 객체로 취급한다는거 알고 계셨나요? int,double,char는 원시 타입으로 해서 객체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자체적으로 구현된 메소드들 또한 없죠. 위 타입을 객체 처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미 만들어진 Wrapper 클래스를 사용하면 됩니다. 한번 String 객체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 1 String str1 = new String("Hello World"); String str2 = new String("Hello World"); // 2 String str3 = "Hello World"; String str4 = "Hello world"; 위 사진은 보기 코드에 첫번째 new 로 객체를 생성했을..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바 최상위 객체인 Object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자바 최상위 객체 Object 이해하기 public class ObjectEx { } 위 코드를 생성을 하면은 기본적으로 생략된 것이 3개가 있다 그 3개가 무엇일까요? 1) import java.lang.* 2) public class -> extends Object 3) public ObjectEx() { super(); } 위 3가지가 생략이 되어있습니다. 자바에서 자동으로 생략을 해주는 것 입니다. 컴파일러에서 자동으로 넣은 상태로 실행을 시켜주는 것입니다 묵시적으로 위 코드들은 무조건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위 3가지는 항상 들어가야하는 default 값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Object는 java.lang에 들어가있는 객..
안녕하세요오늘은 자바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랑 JVM 관점에서 Static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에서 클래스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메인메소드가 필요합니다.그러면 메인 메소드는 무엇일까요?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를 메인 메소드라고 부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스프링 환경이 아닌, 일반 자바를 다루는 환경에서 클래스의 어떠한 값을 콘솔에 출력하기 위해서꼭 있어야 하는 게 바로 메인메소드 입니다.public class Static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위 값이 없다면 출력을 할 수가 없죠. 그리고 값,메소드 등을..
안녕하세요 오늘은 Class, Object, Instance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기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클래스를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제일 기본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객체지향 자체가 클래스안에 많은 변수(=필드),메소드 들이 있고 그 내용들을 다른 클래스에서 가져가다가 쓰는 그런 형태기 때문이죠. 그래서 객체지향을 클래스지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객체지향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객체지향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예제를 보고있고, 직접 예제를 짜보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다가 공부 중에 객체지향 설명을 할 때 항상 나오는 용어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특히 여러 글이나 강사님들이 설명을 할 때, 어쩔때는 객체, 어쩔때..